양성산에서 내려와 주차장에서 보면 오른쪽으로 이렇게 야트막한 오르막길 하나 눈에 띕니다.
무슨 구경거리가 있을까? 호기심으로 올라가 봤습니다.
문의 문화마을
입구에 적혀있기를 대청댐으로 인해 수몰된 지역의 집을 이쪽에 복원해 놓았다합니다.
이 동네 기와집 한 채, 저 동네 초가집 한 채. 이런 식으로 골라서 옮겨 놓았다는 얘기이지요
마을 초입입니다.
"의문지망" 우리가 익히 아는 어머니 마음이란 노랫말에 풀어서 다음과 같이 적었습니다.
"자라선 문기대어 기다리는 맘"
제 안해가 앉아있는 자리가 동네 어귀쯤 되다보니 날은 어두워오는데 출타한 자식은 돌아오지 않고 걱정스런 마음으로 세상의 어미들이 자식을 기다리는 곳의 대표적 장소가 아닌가 싶습니다.
마을로 들어가는 길
나무와 초가집이 모델을 자처하자 가을 햇살이 조명까지 바쳐주니 참 조용한 사진 한 장이 완성되었습니다.
뒷곁과 장독대
가만 생각하니 울안에서 가장 조용했던곳이었던것 같습니다.
목침 높여 베시고 낮잠 주무시던 할아버지의 코고는 소리만 홀로 아득할것 같은 너른 안마당
참 기품있어 보이는 기와집
제각기 터 잡고 들어선 초가집과 기와집
그림 그림 마다 보기에 참 편합니다.
조씨 문중에 효자가 있어 시묘살이 착실히 한 것이 오래전 중앙 일간지에 까지 실렸다는 안내문이
있고 산소 옆에 모델하우스 처럼 여막을 꾸며 놓았습니다.
누구는 한강변이 내려다 보이는 아파트를 이야기 하고
또 누구는 타워팰리슨가 주상복합인가를 이야기 합니다.
그 모두에다 가까이 있는 청남대까지 끼워서 준다해도 바꾸고 싶지 않은 이 그림
올 늦은 봄
경주 불국사에 갔을 때 제 아우가 어머님을 곁에 모셔놓고 다보탑과 석가탑을 가리키면서 석가탑
은 여성적이고 다보탑은 남성적이라 합니다라고 말씀드리는것을 듣고 제가 이보시게 아우
잘못알고 있는것 아닌가?
석가탑은 단순하고 직선적이므로 남성적이고 다보탑은 복잡하고 곡선의 이미지므로 여성적인것
이 아닌가?
이윽고 즉석에서 일금 만원 내기가 걸려 조카가 스마트폰으로 확인결과 제 아우가 판정승을 거두
긴 했습니다만 전 아직도 내심 승복할 수가 없습니다.
위 기와집은 남성적일까요 여성적일까요
경주에서의 내기와 무관치 않아 독자 제현께 여쭈어 봅니다.
낡고 빛이 바래서 헌것이긴 하지만 아직은 쓸만한 것들
대충 여기 저기 버리듯 놔 놓은 것 같은데도 보기에 참 좋습니다.
한 바퀴 돌고 생각 많은 표정을 정문을 향해 나가는데 오른쪽 편 그림 또한 좋아서 한컷
유난히 풍족했던 구름과 햇살에 고맙다 인사하고 칼국수 집으로 향했습니다.
촬영에 협조 해 주신 문의 면장님과 면민 여러분께 이 지면을 빌어서 감사말씀 드립니다.
조강.
'집나와서 부르는 노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월 첫째주 토요일의 금오산 (1) | 2019.12.24 |
---|---|
가을엔 기도하게 하소서 (0) | 2019.12.24 |
양성산에서 만난 가을 (0) | 2019.12.24 |
왕소나무 친견기 (0) | 2019.12.24 |
태백기행- 해바라기 꽃을 아시나요? (0) | 2019.12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