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호천에서 부르는 노래

조강지처- 연따라 가는 길

조강옹 2019. 12. 23. 18:17

"황천길이 멀다더니 대문 밖이 황천일세"

"어의야 허이야"

"삼천갑자 동방석이가 "

"어의야 허이야 "

..................

영혼 떠난 육신은 산 자들에 의해 걸머지워져 대문을 나섰다.

요량소리 처량하게 천천히 동구 밖으로 향한 상여는 만장이 신작

로로 접어들면서 걸음이 빨라졌다.


사십 몇 년전

사 남매, 막내를 낳은 지 백일도 안되어 홀연 떠나간 남편

기약이 없었기에 헤아릴 수도 없는 세월 홀로 살아내다 두 자녀

마저 앞세웠다했다.


오랜 병고 끝, 자욱했던 안개 벗어질 늦은 아침 무렵

마지막 숨 길게 내 쉬며 세상 나올 때 첫숨 들이 쉬던 곳으로

돌려주고 홀로 떠나가는 길

전송 나온, 남아있는 사람들 행렬이 줄줄이 이어져

길가 코스모스 바람에 한들한들 꽃상여와 어우러져 날아가듯 가

쁜하게 느껴지는 것은

앞서 가 기다리던 사람 곁으로 가는 것이기 때문이리라


동네 사람들에 의해 미리 파여진 묘에서 긴 세월- 흔적 되어 버

린 "진토",

고이 꺼내어져 새로이 마련한 터 왼쪽에 모셔지고,

늦게나마 그 오른쪽에 뉘여짐으로 해서 다시 만났다.

저 세상, 들어는 봤어도 가본 적 없는 사람들

무리 지어 삽질을 시작으로 흙이 덮이고 이불 덮어주 듯

떼 입히는 단장 끝내자 거짓말 같이 안개가 걷혔다.


세상 나올 적

홀로 나와 뼈도 살도 섞이지 않은 남남끼리 만나 부부라는 인연

으로 한 세상을 같이 하고

"넋이라도 있고 없고" 사십 몇 년 후에 육신마저 같이 하는 이 연

죽음조차 갈라놓지 못하는 질긴 매듭 얽어주고 내려오는 길

지난 계절을 견뎌낸 벼이삭, 묵념인 양 하나같이 고개 숙이고

벼 베어낸 빈 논도 간혹 눈에 들어온다

.....................


그리 하리라, 둑따라 바람에 끄덕이는 갈대 옆을 지나

내 삶도 저리 영글면 있던 자리 내어주고 돌아가리라

산에 간 사람들 그늘 밑에 모두 모여 점심 먹는 곳

국 날라주던 아내와 눈이 마주쳤다.

누가 먼저든 우리 서로 기다리며, 혹은 살아내며 훗날 이와 같

이 묻힌다는 걸 아내는 알까?

그리하여 살았거나 죽었거나 우리 늘 함께 할거라는 것을.....


조강.

'미호천에서 부르는 노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명절 증후군이 있으시다구유?|  (0) 2019.12.23
양성평등을 위한거랍시고......  (1) 2019.12.23
유서  (0) 2019.12.23
볶음밥에 관한 보고서  (0) 2019.12.23
닭고기와 칼국수가 만났을 때  (0) 2019.12.23